본문 바로가기

낙서장62

당신이 당신임이 기쁩니다. 내가 김고은이였으면 저기서 무릎꿇고 오열했다.내가 나로 존재함이 누군가의 기쁨이 된다니... https://youtu.be/MdIdMvTa57U?si=IraKH7AzkpEdQrayhttps://youtu.be/Z9i7rbGLu8w?si=Fx1kLIQOzivJXkkG 2024. 11. 30.
[Yoga-sutra] 1.7. 올바른 인식이란 प्रत्यक्षानुमानागमाः प्रमाणानि।pratyakṣa-anumāna-āgamāḥ pramāṇāni "올바른 인식은 직접지각, 논리적 추론, 성언에서 비롯된다."प्रत्यक्ष (pratyakṣa): 직접적 지각. "직접적인(앞에 있는, pratyakṣa)" + "감각(ākṣa, 눈)". 감각 기관을 통해 직접 인식한 것.अनुमान (anumāna): 논리적 추론. "뒤따라서(anu)" + "생각하다(māna)".आगम (āgama): 성언. "다가오는(ā)" + "지식(gama)". 권위 있는 경전, 성현의 말씀, 또는 신뢰할 만한 증언을 통해 얻은 지식.प्रमाण (pramāṇa): 올바른 지각. "올바른(prama)" + "측정(ana)". 2024. 11. 21.
[Yoga-sutra] 1.5-6. 마음의 작용 5가지 वृत्तयः पञ्चतय्यः क्लिष्टाक्लिष्टाः।vṛttayaḥ pañcatayyaḥ kliṣṭākliṣṭāḥ "마음의 작용은 다섯 가지로 나뉘며, 고통을 동반하거나 고통을 동반하지 않는 상태가 있다."वृत्तयः (vṛttayaḥ): "작용들", "움직임들". 여기서 마음(citta)의 작용, 즉 변형과 활동을 가리킴.पञ्चतय्यः (pañcatayyaḥ): "다섯 가지 형태".क्लिष्ट (kliṣṭa): "고통을 동반한".अक्लिष्ट (akliṣṭa): "고통을 동반하지 않는". प्रमाणविपर्ययविकल्पनिद्रास्मृतयः।pramāṇa-viparyaya-vikalpa-nidrā-smṛtayaḥ "올바른 인식, 그릇된 인식, 상상, 수면, 기억이 그 다섯 가.. 2024. 11. 20.
[Yoga-sutra] 1.3-4. 순수의식과 마음의 관계 तदा द्रष्टुः स्वरूपेऽवस्थानम्।tadā draṣṭuḥ svarūpe'vasthānam "그때, 보는 자는 본래의 모습 안에 머문다."तदा (tadā): "그때". 여기서는 1.2.에서 말한 마음의 작용이 멈춘 상태를 의미.द्रष्टुः (draṣṭuḥ): "보는 자", 관찰자. 이는 요가 철학에서 순수정신(Puruṣa, पुरुष), 참된 자아를 가리킴.स्वरूपे (svarūpe): "본래의 모습". स्व (sva)는 "자신의". रूप (rūpa)는 "형태" 또는 "본질".अवस्थानम् (avasthānam): अव (ava)는 "아래에", "안에",  स्थान (sthāna)는 "머무르다", "위치하다". 이는 본래의 모습 속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 2024. 11. 19.
[Yoga-sutra] 1.2. 요가란 무엇인가 योगश्चित्तवृत्तिनिरोधः।yogaś citta-vṛtti-nirodhaḥ "요가는 마음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이다."योग (yoga)चित्त (citta): 마음 또는 의식. 어원적으로 चित् (cit)에서 유래, "생각하다" 또는 "알다"는 의미.वृत्ति (vṛtti): 작용, 파동, 활동. 마음의 변화와 움직임을 나타낸다.निरोध (nirodha): 멈춤, 억제, 제어. नि (ni)는 "아래로" 또는 "안으로", रुध् (rudh)는 "억제하다"를 의미. 마음의 활동을 완전히 제어하고 고요하게 만드는 상태를 뜻함. 해설 (Vyasa 주석 참고)1. 인지적 삼매(Saṃprajñāta Samādhi, 유상삼매, 有知三昧) 역시 요가로 간주한다. 2. 마음(citta)은 3가지.. 2024. 11. 19.
[Yoga-sutra] 1.1. 가르침의 시작 अथ योगानुशासनम्।atha yogānuśāsanam "지금부터 요가에 대한 가르침이 시작된다."अथ (atha): "지금부터", "이제", 또는 "시작"을 의미. 전통적으로 중요한 가르침을 시작할 때 사용하는 표현. 단순히 시간적 시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수행자가 요가를 배울 준비가 되었음을 전제한다. 이는 과거의 정화된 행위, 지식, 그리고 겸손한 태도를 요구한다.योग (yoga): "요가". 어원적으로 युज् (yuj)에서 유래, "연결하다", "통합하다"는 뜻. 여기서 마음(चित्त, citta)의 작용을 멈추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요가는 단순한 신체적 활동이 아니라 내적 평화와 통찰을 향한 여정이며, 마음, 신체, 영혼의 조화와 연결을 의미한다.अनुशासनम् (anuśā.. 2024.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