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7

Solid state circuit Keywords Semiconductor basic and Crystal Structure- 도체, 부도체, 반도체란? -> 전기전도도, 비저항- 결정구조 : Crystalline(단결정) / polycrystalline(다결정) / amorphous(비정질)- 반도체의 기본재료 : elenetal semicon - Si / compound semicon - GaAs / Alloy - 화합물- lattice structure(격자 구조)와 unit cell (단위 셀) : Si의 다이아몬드 구조, 공유결합(covalent bonding)- Miller index -> wafer의 방향 표기Carrier modeling과 energy band diagram- carrier : 역할, 특성(전하량, 이동성), electro.. 2018. 4. 13.
Digital circuit Keyword Binary와 logic gate- 2진보수와 binary codes : 1's & 2's, BCD, Gray, ASCII 등- 부울대수와 Truth table- minterm(최소항)/standard product(표준곱) maxterm(최대항)/standard sum(표준합)- 2진함수의 standard form : 곱의합(sum of product) & 합의곱(product of sum)- 논리 gate- gate-level 최소화 : K-map(카르노맵)조합논리(combinational logic)와 순차논리(sequential logic)- (Binary) Half adder(반가산기)와 Full adder(전가산기), BCD adder- Multiplier / comparator- decod.. 2018. 4. 12.
Time-domain Analysis 1. Time domain analysis = Time Response- 입력에 의한 출력을 시간의 함수로 나타내어, 시간에 따른 회로의 상태 변화 및 출력 응답을 해석한다.1-1 Transient Response(과도 응답)-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없어지는 응답. Steady-state에 이르기까지의 과도적인 반응.- 회로의 일반적인 특성(소자의 종류, 크기, 연결형태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Natural Response(고유 응답)이라고도 한다.- Transient analysis는 미분방정식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1계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는 회로를 First-order circuit(1차 회로), 2계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는 회로를 Second-order circuit(2차 회로)라고 한다.1-.. 2018. 4. 6.
회로 해석 주요 법칙 1. Ohm's Law - Resistive Circuit에서 저항, 전류, 전압 간의 관계 설명     2. Kirchhoff's Law  2-1 Kirchhoff's Current Law (KCL)- 회로상의 임의의 노드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합은 0이다. -> Node Analysis에 활용. 2-2 Kirchhoff's Voltage Law (KVL)- 회로상의 임의의 폐회로에서 한 방향으로의 전압강하의 합은 0이다. -> Loop Analysis에 활용.    3. Thevenin's & Norton's Law 3-1 Thevenin's Law- 전압원, 전류원, 저항을 포함하는 두 단자를 가진 임의의 회로는 모두 하나의 독립 전압원과 하나의 등가 저항이 직렬연결된 Thevenin 등가 회.. 2018. 4. 5.
회로소자와 회로정수 1. 수동소자와 능동소자의 구분- 소자는 에너지 소모 여부에 따라 수동소자와 능동소자로 나뉜다.1-1 수동소자 (Passive Element)- 증폭이나 전기에너지의 변환없이 단순히 에너지를 소비, 축적, 통과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외부 전원 공급이 필요없이 단독으로 동작한다. - 동작특성이 선형적이다. (단, 고주파에서는 비선형적 -> 초고주파공학) - ex) 저항(R), 인덕터 혹은 코일(L), 캐패시터 혹은 축전기(C)1-2 능동소자(Active Element)- 전원으로부터 받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신호의 에너지를 변화시키는 소자이다. 따라서, 입출력 단자만 가지는 수동소자와 달리 외부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 동작특성이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진다.- ex) Diode,.. 2018. 4. 4.
전자공학과 전기공학 1. 전자공학과 전기공학 - 쉽게 이야기해보면, 전자공학은 '약전'을 다루고 전기공학은 '강전'을 다룬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르게 말하면 전자공학은 '신호'를, 전기공학은 '에너지'를 다룬다고도 할 수 있다. 전기공학은 강전, 즉 큰 전기 에너지를 어떻게 생성, 분배,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학문이다. 발전소나 각종 전자기기 등의 파워공급 등을 생각하면 쉽다. 전자공학은 전기공학에서 다루는 것보다 훨씬 약한 에너지의 전기 신호를 어떻게 생성, 처리, 전달하여 정보로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학문이다. 반도체소자나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칩을 설계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2. 공통 기본 내용 - 전자기학: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공간상의 전자기적인 영향에 대한 이론.- 회로이론: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회로.. 2018.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