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벽한 소형 컴퓨터로 동작할 수 있는 라즈베리파이는 그 자체에 디스플레이와 키보드, 모니터를 입력하면 바로 사용가능하지만(SSH뿐만 아니라 GUI까지!!), 노트북에 연결하여 원격제어하는 방법이 휴대하기도 편하고 익숙한 윈도우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편하다.
<<순서>>
1. 노트북과 라즈베리파이 IP주소 지정.
2. puTTY로 원격접속 후 VNC 활성화.
3. VNC Viewer로 GUI 사용.
<<필요한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
1) puTTy : https://www.ssh.com/ssh/putty/download#sec-Download-PuTTY-installation-package-for-Windows
2) VNC Viewer : https://www.realvnc.com/en/connect/download/viewer/
1. 노트북과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 지정
- 최초 사용 시 디스플레이와 키보드를 연결할 수 있으면 터미널로 할당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지만, 노트북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라즈베리파이의 ip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고정 ip 주소를 지정해준다.
1) 부팅 SD카드를 노트북에 연결하고, boot -> cmdline.txt 파일 마지막에 ip=192.168.137.110 추가. (ip주소는 임의로 설정 가능)
2) boot에 확장자 없이 ssh 빈 파일 추가. (라즈베리파이3부터 ssh 사용 활성화를 따로 해줘야 한다고 함.)
3) 제어판₩네트워크 및 인터넷₩네트워크 연결 -> 이더넷 -> 속성 -> TCP/IPv4 -> 속성 -> 다음 IP주소 사용
2. puTTY로 원격접속 후 설정 변경
1) puTTY 실행 -> cmdline.txt 에서 설정한 고정 IP주소 입력 -> SSH 연결 실행
2) 초기 username과 password 입력
- username: pi
- password: raspberry
3) raspi-config 실행
sudo raspi-config |
4) Interfacing Options -> SSH, VNC enable로 전환.
3. VNC Viewer로 GUI 사용
1) Terminal open -> boot에서 config.txt 파일 open.
sudo nano /boot/config.txt |
2) 내용 수정
- 16:9 720p -> hdmi_mode=85
- 16:9 1080p -> hdmi_mode=82
- 기타 해상도는 링크 참조 : https://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configuration/config-txt/video.md
# uncomment to force a specific HDMI mode (this will force VGA) #hdmi_group=1 #hdmi_mode=1 |
# uncomment to force a specific HDMI mode (this will force VGA) hdmi_group=2 hdmi_mode=85 |
3) 저장 후 nano 종료 (ctrl+x -> y -> enter)
4) 변경 내용 저장을 위해서, 재부팅
sudo reboot |
5) 완료
'Embedded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02-1_LED (0) | 2018.01.09 |
---|---|
ex01_MCO (0) | 2018.01.09 |
[mycortex-STM32F4] IAR 개발환경 구성 (0) | 2018.01.08 |
[mycortex-STM32F4] ST-LINK 드라이버 설치 (0) | 2018.01.07 |
ARM Cortex-M4 (0) | 2017.12.30 |